본문 바로가기

보안

하드디스크 관리 - RAID 구축하기 - 1

반응형
  • Linear Raid
    선형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연결해 하나의 큰 가상 디스크를 만든다첫 번째 디스크가 완전히 채워지면 순차적으로 다음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1.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란?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 처럼 사용하는 기술로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으로

    주로 중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 사용한다.

 

2. RAID 방식의 종류

 

Hardware RAID

Software RAID

장점

안정적이고 독자적인 메모리와 프로세서

저렴한 비용으로 H/W RAID와 동일하게 RAID 구성이 가능

단점

비싸다
제조사에 따라 RAID를 설정하는 펌웨어 사용방식이 다르다

H/W RAID에 비해 신뢰성이나 속도 등이 떨어진다

 

 

3. 데이터를 나누는 방법에 따른 종류 ( Level로 구분 )

  • Linear RAID ( 최소 2개 )
    - 여러 개의 디스크를 연결해 하나의 큰 가상 디스크를 만듦
    - 첫 번쨰 디스크가 완전히 채워지면 순차적으로 다음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

 

  • RAID 0 ( Stripping, 최소 2개 )
    - 모든 하드디스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저장 ( 1/N 하여 분할 저장)
    - 파일이 저장되는 시간, 속도 측면에서 성능이 가장 뛰어남
    - 공간 효율성이 좋다
    - 하드디스크 중 하나가 고장 날 경우 복구 능력이 없다 → 데이터가 분할 저장 되기 때문

 

  • RAID 1 ( Mirroring, 최소 2개 )
    - 하나의 디스크에 파일이 저장되면 나머지 하드디스크에도 자동으로 저장된다.
    -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 총 디스크 용량의 50%만 사용 가능 )

 

  • RAID 5 ( Parity bit를 이용한 방식, 최소 3개 )
    - 장애가 발생하면 Parity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구
       Parity : 디스크 장애 시 데이터를 재구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사전에 계산된 값 ( 0,1 )
    - 총 디스크 용량의 -1 만큼만 사용 가능 

 

  • RAID 6 ( Double Parity bit를 이용한 방식, 최소 4개 )
    - 각 디스크에 2개의 Parity 데이터를 기록
    - 총 디스크 용량의 -2만큼만 사용 가능

 

  • RAID 7 ( 운영체제가 별도로 있음 )
  • RAID 01 ( RAID 0 + RAID 1, 최소 4개 )

 

   

 

  • RAID 10 ( RAID 1 + RAID 0, 최소 4개 )


 

  • RAID 53 ( RAID 3 업그레이드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디스크 관리 - RAID 구축하기 - 2  (0) 2021.03.22